
🇫🇷 프랑스, '유럽의 중국'이라 불리는 진짜 이유? 속속들이 파헤쳐 보자!
"프랑스가 유럽의 중국이라고?" 😮 이 도발적이면서도 다면적인 별명, 단순한 농담일까요, 아니면 그럴 만한 이유가 있는 걸까요? 때로는 역사적 궤적부터 문화적 특성, 정치 시스템, 경제 모델, 심지어 지정학적 입장까지! 프랑스와 중국 사이의 놀라운 유사점을 찾아보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이 포스팅에서는 왜 프랑스가 '유럽의 중국'으로 불리는지, 그 복합적인 이유들을 역사, 문화, 정치, 경제, 그리고 지정학적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해 여러분께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겉으로 드러난 딱지표를 넘어, 그 속에 숨겨진 더 깊은 의미를 함께 탐색해 보시죠!
I. 별명의 기원과 그 속에 담긴 여러 의미 🏷️
이 별명, 특히 한국 인터넷 공간에서는 '유럽의 짱깨'라는 자극적인 멸칭으로 변형되어 사용되기도 합니다. 주로 역사 애호가들 사이에서 유머나 가벼운 소비 문화의 일환으로 등장하며, 프랑스의 특정 행태를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식이죠. '짱깨'라는 단어 자체가 이미 부정적 고정관념을 담고 있어, 이 별명이 비하적인 의도로 시작되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러한 비교가 대중적으로 확산된 배경에는 이원복 교수의 학습만화 '먼나라 이웃나라'의 영향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 만화는 프랑스와 중국을 아시아와 유럽의 대표적인 대륙 국가로 설정하고, 이민족과 그들의 문화를 포용하는 방식(프랑스의 톨레랑스 vs 중국의 대동주의), 국가와 민족에 대한 강한 자부심("우리가 세계 최고!"), 그리고 개인주의적 성향 등에서 유사점을 제시했습니다. 비록 만화 자체는 이러한 비교를 국민성에 대한 관찰로 제시했을지라도, 광범위한 독자층에게는 두 국가 간 유사성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프랑스인들이 가진 강한 자아(Ego)와 낮은 공중의식, 지나친 자부심이 다른 나라 사람들을 무시한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에 '유럽의 중국'이라는 달갑지 않은 별명을 얻게 되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프랑스 관료주의나 소통 방식에 대한 부정적 경험을 통해 이러한 인식이 강화되기도 하죠. 실제로 파리 올림픽 준비 과정에서 비자 문제 처리 과정에서의 혼란과 불통을 경험하며 이러한 인식을 구체화한 사례도 있습니다. 유럽연합(EU) 소속 도핑검사관들에게조차 단기체류비자가 필요하다는 안내가 반복되었고, 이에 대한 문의에는 무성의하거나 답변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니, 답답함이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이러한 개인적 경험은 '일화에서 원형으로' 이어지는 파이프라인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 관료주의나 프랑스인의 태도에 대한 부정적인 개인적 경험은 강력하고 기억에 남습니다. 이러한 일화들이 공유될 때, 특히 '유럽의 중국'과 같은 비교적 딱지표가 이미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정당화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프랑스의 '오만함'이라는 인식이 그들의 '보편주의' 전통과 역설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프랑스는 프랑스 혁명에서 비롯된 자유, 평등, 박애, 인권과 같은 보편주의적 이상을 강하게 내세워 왔습니다. 역사적으로 중국 역시 중화사상이나 '천하(天下)' 개념을 통해 일종의 문명적 보편성을 투사했죠. 자신의 가치를 '보편적'이라고 강하게 주장하는 것은, 타인에게 문화적 오만함이나 강요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II. 역사 속 교차점: 초기 우호 관계부터 제국주의의 그늘까지 📜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 루이 14세에 의해 파견된 예수회 선교사들(장 드 퐁타네, 조아킴 부베 등)은 중국과 프랑스 간의 과학 및 문화 교류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들은 단순한 선교 활동을 넘어 중국의 과학과 기술을 연구하여 프랑스에 전달하는 임무를 부여받았죠. 당시 예수회 선교사들은 루이 14세와 중국의 강희제 사이에 유사점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두 군주 모두 각자의 지역(프랑스는 유럽, 중국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를 통치하며 '신의 종'으로 여겨졌다는 것입니다.
이 시기 중국의 문화, 예술, 상품(시누아즈리 양식, 도자기, 비단, 칠기 등)은 루이 14세 치하의 프랑스에서 크게 유행했습니다. 루이 14세는 중국 양식의 트리아농 도자기 궁전을 건축하기도 했으며, 프랑스는 이러한 중국 물품의 유럽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반대로 프랑스 예수회는 중국의 과학, 특히 지도 제작술에 영향을 미쳤고, 프랑스에서 제작된 중국 지도는 유럽 전역에서 널리 활용되었습니다.
그러나 19세기 유럽 제국주의 팽창과 함께 양국 관계는 악화되었습니다. 프랑스는 영국과 함께 제2차 아편전쟁(1856-1860)에 참여하여 불평등 조약인 톈진 조약 등을 통해 무역권과 영토 할양을 확보했습니다. 1860년 영프 연합군에 의한 원명원 약탈은 수많은 중국 유물이 프랑스 박물관으로 흘러 들어가는 결과를 초래하며, 식민 약탈을 상징하는 민감한 역사로 남아 있습니다. 나아가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건설하며 중국과 충돌(청프전쟁, 1884-1885)했고, 광저우만(Kwangchow Wan)을 99년간 조차하는 등 중국 내 세력권 분할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상호작용은 '강대국 대칭성' 환상과 그 붕괴를 보여줍니다. 초기에는 상호 존중과 호기심이 있었으나, 제국주의로 인해 경멸과 분노로 바뀌었죠. 프랑스는 '중국으로의 창'이자 동시에 '중국으로의 쐐기' 역할을 수행하며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III. 정치 구조의 유사성: 강력한 중앙집권과 엘리트 관료제 🏛️
프랑스와 중국은 모두 오랜 중앙집권적 정치 체제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통일 제국 통치 전통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프랑스는 부르봉 왕조 하의 절대왕정 시기에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확립했습니다. 이러한 중앙집권화는 혁명 이후에도 지속되어 현대 프랑스 제5공화국의 강력한 대통령 권한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현대 중국 역시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관료 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파리가 곧 프랑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국가 권력이 수도 파리에 강력하게 집중되어 있는 프랑스의 모습은, 권력이 베이징에 유사하게 집중되어 있는 중국과 대조를 이룹니다. 양국 모두 숙련되고 때로는 엘리트적인 관료제를 발전시켜왔습니다. 프랑스의 국립행정학교(ENA)는 역사적으로 고위 행정 관료를 배출해왔고, 중국은 오랜 기간 과거제를 통해 능력주의적 관료제를 운영했으며 현대에도 숙련된 관료층을 중시합니다.
이러한 기술관료 국가는 효율적인 통치와 국익 증진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동시에 일반 대중과 단절된 '기술관료적' 시스템으로 인식되어 불만을 야기하거나, 엘리트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방어하며 개혁을 방해할 수도 있다는 잠재적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관료적 경직성'에 대한 비판은 이러한 현상의 한 증상일 수 있죠. 또한, 극단적인 중앙집권화는 지역 불균형이나 주변 지역의 소외감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됩니다.
IV. 경제 모델의 평행선: 국가 주도 발전과 '국가대표' 산업 육성 💰
프랑스의 '디리지슴(Dirigisme)'은 국가가 시장 경제에 대해 단순한 규제자 역할을 넘어 강력한 지시적 역할을 수행하는 경제 원리입니다. 이는 루이 14세의 재상 콜베르 시대에 시행된 중상주의의 프랑스식 버전인 '콜베르주의(Colbertism)'에 역사적 뿌리를 두고 있으며, 국가 주도의 경제 발전에 초점을 맞춥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 정부는 계획총국(Commissariat général du Plan)이 설계한 지표적 계획을 사용하고 국영기업을 육성하며 경제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중국의 경제 모델은 사회주의 계획 경제에서 진화했지만, 국가가 상당한 지시적 역할을 유지하는 자본주의 형태로 수렴해왔으며, 종종 '국가자본주의' 또는 '사회주의 시장 경제'로 묘사됩니다. 중국의 산업 지원은 다른 주요 경제국보다 훨씬 강도 높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데, "전통적인" 지원 도구(보조금, 세금 인센티브 등)를 더 큰 규모로 사용하며 광범위한 부문과 기업을 지원합니다. '중국제조 2025'와 같은 현대 중국 산업 정책은 직접적인 국가 자금 지원, 세금 감면 등을 통해 핵심 산업의 기술 업그레이드에 초점을 맞추며 콜베르주의적 요소를 보여줍니다.
양국 모두 인공지능(AI), 녹색 기술(예: 녹색 수소)과 같은 전략 산업을 육성하고 '국가 주력 산업(national champions)'을 만들기 위해 국가 개입을 적극 활용합니다. 프랑스는 마크롱 대통령 주도로 AI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며(국영 투자은행 Bpifrance 통해), 녹색 수소 국가 전략에도 수십억 유로를 투입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미 녹색 기술 공급망에서 빠르게 부상하며 유럽 기업에 경쟁 압력을 높이고 있으며, 반도체 등 첨단 기술 자립화를 위한 국가적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물론 차이점도 있습니다. 중국의 국가 개입 규모와 체계적 통합 수준(예: 기업 내 당 조직)은 프랑스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전략적 경제 부문을 확보하고 경제 주권을 지키려는 강력한 국가주의적 경향은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V. 지정학적 행보의 유사성: '전략적 자율성'을 향한 독자 노선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유럽의 '전략적 자율성'을 강력히 주장합니다. 이는 유럽연합(EU)이 특히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독자적으로 행동할 수 있어야 하며, 미국의 '추종자'나 '속국'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개념은 샤를 드골 대통령 시절 프랑스 외교 정책에서 비롯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처음에는 국방 및 안보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점차 외교 정책, 기술, 경제 등 거의 모든 EU 정책 영역으로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흥미롭게도 중국은 EU의 전략적 자율성 요구를 지지하는데, 이는 EU와 미국 사이에 쐐기를 박을 기회로 보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국은 프랑스, 독일, 그리고 아세안 국가들이 중국과의 안정적인 관계에서 이익을 얻고 다른 강대국(특히 미국)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지 않기 위해 '전략적 자율성'을 유지하도록 촉구합니다.
프랑스의 입장은 "중국에 대한 대립적 접근 지양, 워싱턴과 베이징 사이의 등거리 외교 지양, 미국과의 전략적 동조 지양"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프랑스는 미국과 많은 부분에서 공감대를 공유하지만 '동맹이되 동조는 아니다(alliance but not alignment)'라는 원칙을 강조하며 독자적인 길을 개척하려 합니다. 마크롱 대통령이 대만 문제에 대해 "우리의 위기가 아니다"와 같은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된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랑스의 '전략적 자율성' 추구는 현대판 드골주의의 발현으로 볼 수 있으며, 초강대국 블록과 구별되는 독립적인 길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중국의 외교적 입장과 표면적인 공명을 이루기도 합니다. 양국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단순한 '추종자'가 되기를 거부하는 것이죠.
VI. 문화적 차원과 국가 정체성: 자부심, 예외주의, 그리고 개인주의? 🎭
'먼나라 이웃나라' 만화는 프랑스와 중국 양국 국민들의 강한 국가적 자부심("우리가 세계 최고!"), 자국 문화의 우월성 또는 중심성에 대한 믿음(프랑스 문화가 기준, 중국 문화가 아시아 문화의 기원) 등을 지적합니다. 이는 국가적 자긍심과 자국 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믿음이라는 공유된 특징을 시사합니다. 또한 이 만화는 양국 국민들의 강한 개인주의, 심지어 이기주의까지 언급하기도 합니다.
양국은 역사적으로 자신들을 주요 문명 중심축으로 간주하며 상당한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해왔습니다. 프랑스는 자국 언어, 철학, 예술, 그리고 혁명적 이상(자유, 평등, 박애)을 강조하며 문화적 사명감을 드러냅니다. 중국의 오랜 역사, 철학적 전통(유교, 도교), 그리고 과거 지역적 패권은 문화적 자아 인식의 바탕이 됩니다. 이러한 강력한 '문명 국가' 정체성은 그들의 국가적 자부심을 고취시키고 문화적 예외주의 감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프랑스 개념인 '라 글로아르(la gloire)'는 국가적 위대함과 국제적 위신에 대한 역사적 추구를 반영하며 국가 정신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습니다. 중국의 현재 가장 중요한 국가적 서사는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으로, 중국을 역사적인 세계적 탁월성의 위치로 회복시키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죠. 두 서사 모두 역사적 위엄에 대한 강력한 호소와 현대 세계 무대에서의 인정과 영향력에 대한 열망을 포함합니다. '유럽의 중국'이라는 비교는 강력한 역사적 자아상에 뿌리를 둔 지위와 인정을 위한 이러한 공유된 국가적 추진력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습니다.
VII. 이 흥미로운 비교, 우리는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
그렇다면 프랑스인들은 이러한 비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유튜브 영상 등에서는 '유럽의 중국인' 또는 '유럽의 짱깨'로 불리는 것에 대해 재미있어하거나, 무례함을 인정하거나, 방어적이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등 다양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 용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인식이 있으며, 반응의 스펙트럼이 존재함을 나타냅니다.
흥미롭게도 프랑스의 대표적인 시인 샤를 보들레르는 그의 산문시집 '파리의 우울(Petits Poèmes en prose)'에서 가상의 북유럽 국가를 "서양의 동양, 유럽의 중국(l'Orient de l'Occident, la Chine de l'Europe)"이라고 언급하며, 그곳을 "따뜻하고 변덕스러운 환상"과 "학문적이고 섬세한 초목"의 장소로 묘사했습니다. 이는 오늘날의 부정적인 함의와는 달리, 이국적인 분위기와 정교한 예술성을 연상시키는 '유럽의 중국'이라는 표현이 주요 프랑스 지식인에 의해 초기에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학적, 역사적 참조점입니다.
유럽의 다른 파트너들은 마크롱 대통령의 '전략적 자율성' 추진, 특히 중국과 대만에 대한 그의 발언에 대해 서방의 단결을 저해할 수 있다는 좌절감과 회의감을 표명해왔습니다. 이는 프랑스를 직접적으로 '유럽의 중국'이라고 부르지는 않지만, 때로는 중국의 독자적이고 단호한 외교 정책과 유사하거나 지나치게 수용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프랑스의 독자적인 지정학적 입장에 대한 우려를 반영합니다.
결론적으로, 프랑스를 '유럽의 중국'으로 칭하는 것은 다면적인 비교입니다. 역사적 상호작용, 중앙집권적 정치 구조, 국가 주도 경제 모델, 전략적 자율성의 지정학적 추구, 그리고 국가적 자부심과 같은 특정 문화적 특성에서 유사점이 관찰됩니다. 이 비교는 경멸적인 고정관념에서부터 보다 실질적인 분석적 관찰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양상을 띱니다.
이 비교는 강력한 국가 전통, 독립적인 외교 정책 추구 등 일부 설명적인 힘을 지니는 지점이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규모(인구, 경제, 지리), 정치 체제(민주주의 대 일당 독재), 역사적 맥락의 현저한 차이, 그리고 종종 이 딱지표 뒤에 숨겨진 부정적이거나 상투적인 의도를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유사성이 근본적인 차이를 지우는 것은 아니며, 비유가 곧 정체성을 의미하지 않음을 강조해야 합니다.
'유럽의 중국'이라는 표현은 피상적인 유사점을 넘어, 두 국가가 공유하는 특정 구조적, 문화적, 지정학적 경향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그 이면에 존재하는 심대한 차이점을 간과하게 만들 수 있는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따라서 이 비유는 비판적 성찰의 출발점은 될 수 있으나, 그 자체로 최종적인 분석적 틀이 되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참조 링크
- 나무위키 - 유럽의 짱깨:https://namu.wiki/w/%EC%9C%A0%EB%9F%BD%EC%9D%98%20%EC%A7%B1%EA%B9%A8
- 브런치스토리 - 04화 유럽의 중국, 프랑스: https://brunch.co.kr/@@6a2t/275
- Wikipedia - China-France relations: https://en.wikipedia.org/wiki/China%E2%80%93France_relations
- Wikipedia - Dirigisme: https://en.wikipedia.org/wiki/Dirigisme
- Rhodium Group - Far From Normal: An Augmented Assessment of China's State Support:https://rhg.com/research/far-from-normal-an-augmented-assessment-of-chinas-state-support/
- 연합뉴스 - 서방과 '다른 길' 걷는 프랑스…中과 "전략적 자율성" 한목소리:https://www.yna.co.kr/view/AKR20240221066700083
- ISEAS - Perspective: Assessing China's Call for “Strategic Autonomy” in Southeast Asia:https://www.iseas.edu.sg/articles-commentaries/iseas-perspective/2025-22-assessing-chinas-call-for-strategic-autonomy-in-southeast-asia-origins-objectives-and-outcomes-by-eugene-r-l-tan-lye-liang-fook/
- 프랑스 왕실 과학원이 18세기 유럽의 중국지도제작에 미친 영향:https://journal.kgeography.or.kr/articles/pdf/Lknv/geo-2014-049-04-6.pdf
- La Machine #17: AI Action Summit Makes The Money Rain Down!: https://frenchtechjournal.com/la-machine-17-special-ai-action-summit-edition-make-money-rain/
- Alain's "Le mot du jour" (avril 2020) - Charles Baudelaire "la Chine de l'Europe":https://lemotdujour.fr/?m=202004
'국제&역사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리가 세계 패션의 중심지로 불리는 이유는 무엇 인가? (0) | 2025.05.21 |
---|---|
일본은 왜 지진이 잦을까? (0) | 2025.05.20 |
일본에는 왜 그렇게 다양하고 독특한 자판기가 많을까? (0) | 2025.05.19 |
벚꽃이 일본 문화에서 갖는 특별한 의미는 무엇이고, 왜 일본인들은 벚꽃 시즌에 그토록 열광할까요? (0) | 2025.05.18 |
일본은 어떻게 애니메이션 강국이 되었을까? (0)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