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매일 반복되는 하늘의 쇼
혹시 매일 아침 떠오르는 해를 보며, 밤하늘을 가득 채운 별들이 서쪽으로 지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셨나요? 달 역시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매일 밤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하늘의 해, 달, 별들이 하루 동안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과연 무엇 때문일까요? 이 흥미로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 24시간의 비밀을 풀어보려 합니다.
일주 운동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하늘의 천체들이 매일같이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처럼 보이는 이 움직임을 바로 일주 운동(日周運動)이라고 합니다. 마치 거대한 천상의 무대가 하루를 주기로 회전하는 듯한 인상을 주죠. 하지만 놀랍게도 이 겉보기 운동의 진짜 원인은 다른 곳에 있습니다. 바로 우리가 발을 딛고 서 있는 지구, 이 행성의 자전(自轉) 때문입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팽이가 돌 듯 끊임없이 자전하는 지구의 움직임 때문에, 우리는 마치 하늘의 모든 것들이 반대 방향인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흥미로운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천구(天球, celestial sphere)라는 가상의 거대한 구(sphere)입니다. 지구를 중심으로 무한히 큰 반지름을 가진다고 상상하는 이 구의 표면에 해, 달, 별들이 고정되어 있고, 이 천구 전체가 지구의 자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일주 운동이 나타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우리가 매일 보는 하늘의 쇼: 일주 운동의 과학적 의미
일주 운동은 단순한 겉보기 현상을 넘어, 천문학에서 매우 기본적인 개념이자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 밤하늘을 관찰하고 천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기준이 됩니다.
- 과거에는 시간을 측정하고 방향을 찾는 항해술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일주 운동, 하늘의 규칙적인 궤적
천구 상에서 천체들이 그리는 하루 동안의 궤적을 일주권(日周圈, diurnal circle)이라고 부릅니다. 이 일주권들은 천구의 적도와 평행하게 나타나며, 지구의 자전축과 겉보기 운동의 축이 일치하기 때문에 규칙적인 원형 또는 호의 형태를 띱니다.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한 바퀴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항성일(恒星日, sidereal day)이라고 하며, 23시간 56분 4.09초입니다. 이는 별과 같은 멀리 있는 천체를 기준으로 지구가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반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태양일(太陽日, solar day)은 태양이 천구 상에서 같은 위치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약 24시간입니다.
이 미묘한 시간 차이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公轉)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지구가 자전하는 동안 태양 주위를 조금씩 움직이므로, 지구가 다시 태양을 정면으로 향하기 위해서는 항성일보다 약간 더 회전해야 하는 것이죠. 이처럼 지구의 자전과 공전이라는 두 가지 기본적인 움직임이 상호작용한 결과로, 우리는 매일 24시간이라는 규칙적인 하루를 경험하게 됩니다.
위도에 따라 달라지는 하늘의 모습
일주 운동의 모습은 관찰자의 위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 북극이나 남극 (고위도): 하늘의 모든 별들이 천정 부근의 천구의 북극 또는 남극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북극) 또는 시계 방향(남극)으로 회전하며,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는 극주성(極周星, circumpolar star)이 됩니다.
- 적도 (저위도): 천구의 북극과 남극이 각각 북쪽과 남쪽 지평선 위에 위치하며, 모든 별들은 동쪽 지평선에서 떠올라 천정을 지나 서쪽 지평선으로 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 중위도: 극주성 외의 별들은 동쪽에서 떠올라 남쪽 하늘에서 가장 높은 고도를 찍고 서쪽으로 집니다. 별들의 뜨고 지는 시각과 방향은 별의 적위와 관찰자의 위도에 따라 달라지죠.
이처럼 위도에 따라 하늘의 별들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은 지구가 둥근 구체(sphere)라는 명백한 증거 중 하나입니다.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어느 곳에서든 하늘의 별들이 같은 경로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여야 할 테니까요.
지구가 돌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들
오랜 옛날부터 인류는 하늘의 움직임을 관찰하며 지구의 형태와 운동에 대한 궁금증을 키워왔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과학자들의 노력 덕분에 우리는 지구가 자전하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들을 확보하게 되었죠.
직접적인 증거
- 푸코의 진자 (Foucault's Pendulum): 1851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레옹 푸코는 역사적인 실험을 통해 지구 자전의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했습니다. 천장에 매달린 무거운 추를 흔들면, 진자의 진동면은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항상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려는 성질(관성)을 갖습니다. 푸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자의 진동면이 바닥에 표시된 원을 따라 천천히 회전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진자 자체가 아니라, 진자 아래의 지구가 자전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푸코는 위도에 따라 진자의 회전 속도가 달라진다는 사실(푸코의 사인 법칙)을 수학적으로 증명하기도 했습니다. 이 실험은 지구 자전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해준 획기적인 증거였습니다. (푸코는 이듬해 자이로스코프를 발명하여 지구 자전을 더욱 직접적으로 증명했습니다. )
-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편향: 높은 곳에서 자유 낙하하는 물체는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수직 방향에서 약간 동쪽으로 편향되어 떨어집니다. 물체가 낙하하는 동안 지구 표면이 동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죠. 18세기 말 이탈리아의 과학자 구글리엘미니는 아시넬리 탑에서 납 공을 떨어뜨려 동쪽과 남쪽으로의 미세한 편향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간접적인 증거
- 코리올리 효과 (Coriolis Effect): 지구의 자전은 움직이는 물체의 경로를 휘게 만드는 코리올리 힘이라는 겉보기 힘을 만들어냅니다. 북반구에서는 진행 방향의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편향되는 이 효과는 날씨 현상(특히 허리케인과 같은 저기압의 회전 방향)과 해류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별의 궤적 (Star Trails): 밤하늘을 오랫동안 촬영한 사진을 보면 별들이 원형 또는 호를 그리며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별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별들이 실제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자전하면서 별들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 궤적의 중심은 천구의 북극과 남극에 해당합니다.
- 인공위성 관측: 지구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과 우주 쓰레기들의 움직임을 관찰하면 지구의 자전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공위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구의 자전 속도와 축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증거들의 의의
푸코의 진자 실험은 이전까지 천문 관측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던 지구 자전을 지구 표면에서 직접적으로 증명한 획기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코리올리 효과는 이론적인 개념이었지만, 실제 날씨와 해류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지구가 자전하고 있다는 강력한 간접 증거가 됩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인공위성 기술을 통해 지구 자전을 매우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지구 자전이라는 개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는 것입니다.
일주 운동의 숨겨진 원리: 지구 자전의 물리적 요인들
지구의 일주 운동은 지구 자전 때문에 나타나지만, 자전 속도, 방향 및 관련 현상들은 여러 물리적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 지구 자전축 기울기: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 궤도면에 대해 약 23.5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 기울기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계절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기 때문에, 북반구와 남반구가 받는 햇빛의 양과 낮/밤 길이가 달라집니다.
- 지구 자전 속도: 지구는 끊임없이 회전하며, 적도에서의 속도는 약 1,670km/h에 달합니다. 하지만 자전 속도는 달과 태양의 조석력(tidal force) 때문에 아주 미세하게 느려지고 있습니다. 지진, 기후 변화(빙하 녹음), 지구 핵의 움직임 등도 미세한 속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기타 요인: 지구는 완벽한 구(sphere)가 아닌, 자전 때문에 적도 부분이 약간 부풀어 오른 회전 타원체(spheroid) 형태입니다. 또한, 지구의 자전축은 약 26,000년을 주기로 팽이처럼 회전하는 세차 운동(precession)을 합니다. 이는 달과 태양의 중력 영향 때문입니다.
지구 자전축 기울기는 계절 변화를 낳고, 이는 일주 운동 효과가 지역과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자전 속도가 서서히 느려지는 것은 지구-달-태양 간의 역학 관계와 지구 내외부 변화가 기본 운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낮과 밤, 별의 움직임, 푸코 진자: 일주 운동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현상들
지구의 일주 운동, 즉 자전은 우리 주변에서 매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 낮과 밤의 변화: 지구가 자전하여 각 지역이 차례로 태양을 향하면서 낮과 밤이 반복됩니다. 자전축 기울기는 낮/밤 길이 변화와 계절 변화를 유발하며 , 생명체의 생체 리듬(서캐디안 리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별의 일주 운동: 밤하늘 별들의 움직임은 지구 자전 때문에 나타나는 겉보기 운동입니다. 별들은 천구의 극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북극성처럼 천구의 극에 가까운 별은 하루 종일 지지 않는 극주성이 됩니다.
- 푸코 진자의 운동 (재조명): 푸코 진자는 지구 자전의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진동면의 회전은 진자 아래의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나타나며, 회전 방향과 속도는 위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는 코리올리 힘 개념으로 설명되기도 합니다.
이처럼 일주 운동은 낮과 밤, 별의 움직임, 과학적 실험 증명 등 다양하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인류는 어떻게 일주 운동을 이해해 왔을까?
오래전부터 인류는 천체의 움직임에 주목했습니다. 초기 문명은 규칙적인 움직임을 시간, 계절, 방향 파악에 활용했습니다. 당시에는 지구가 중심이라는 천동설(geocentrism)로 일주 운동을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은 태양 중심의 지동설(heliocentrism)을 주장했습니다. 지동설에서는 하늘의 겉보기 일주 운동이 실제로는 지구의 자전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갈릴레이의 망원경 관측,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 발견 등으로 지동설은 점차 설득력을 얻었습니다.
푸코의 진자 실험은 지구 자전을 직접 증명하여 일주 운동에 대한 이해를 확고하게 만들었습니다. 이 실험은 과학계와 대중에게 지구 자전을 시각적으로 명확히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가 되었습니다.
천동설에서 지동설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인류가 우주를 바라보는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혁명적인 사건이었으며, 과학적 사고방식 발전과 지식 확장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평평한 지구는 말이 안 돼요! 일주 운동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적 이해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오해가 존재하며, 특히 '평평한 지구' 이론은 오해를 심화시킵니다.
- 오해 1: 해가 지구 주위를 돌기 때문에 낮과 밤이 생긴다.
- 진실: 낮과 밤은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오해 2: 지구가 하루에 한 번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낮과 밤이 생긴다.
- 진실: 지구는 약 365일에 한 번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이는 계절 변화의 원인입니다.
- 오해 3: 여름에는 지구가 태양에 더 가깝고, 겨울에는 더 멀어서 계절 변화가 생긴다.
- 진실: 계절 변화는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평평한 지구 이론은 위도별 별의 모습 변화, 코리올리 효과, 푸코 진자 운동 등 지구가 둥근 구체 형태로 자전한다는 강력한 증거들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평평한 지구론자들의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거나 기존 과학 사실을 왜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밤하늘을 더욱 흥미롭게 만드는 일주 운동 이야기: 다른 행성과의 비교
지구의 하루는 24시간이지만, 다른 행성들은 어떨까요? 행성의 자전 속도는 형성 과정, 질량, 충돌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릅니다.
행성 | 자전 주기 (지구 시간 기준) | 적도 자전 속도 (km/h) |
---|---|---|
수성 | 58일 16시간 | 10.83 |
금성 | 243일 26분 | 6.52 |
지구 | 23시간 56분 | 1674 |
화성 | 24시간 36분 | 866 |
목성 | 9시간 55분 | 45583 |
토성 | 10시간 33분 | 36840 |
천왕성 | 17시간 14분 | 14794 |
해왕성 | 16시간 | 9719 |
*출처: NOAA *
목성과 토성 같은 가스 행성들은 매우 빠르게 자전하며, 목성의 하루는 약 10시간입니다. 반면 금성은 자전이 매우 느려 하루가 243일이나 되며, 공전 주기보다 깁니다.
행성의 자전 속도는 형성 초기 각운동량, 질량 분포, 충돌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빠른 자전 속도는 행성 모양을 찌그러뜨리고 대기 흐름에 영향을 줍니다.
지구 역시 달의 조석력 등으로 자전 속도가 서서히 느려지고 있으며 , 지진이나 기후 변화 등도 미세한 변화를 일으킵니다. 과학자들은 이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원인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나만의 밤하늘 관찰 가이드: 일주 운동을 직접 경험해 보자
일주 운동은 직접 밤하늘을 관찰하면 더욱 흥미롭게 느껴집니다.
- 별의 움직임 관찰: 밝은 별 하나를 정해 1~2시간 간격으로 주변 건물/나무와 비교하며 위치 변화를 확인하세요. 별자리 앱/지도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 별 사진 촬영: 카메라를 삼각대에 고정하고 장시간 노출로 촬영하면 별의 궤적이 빛줄기처럼 나타납니다. 북쪽 하늘을 찍으면 북극성 중심의 원형 궤적을 볼 수 있습니다.
- 해시계 활용: 해의 일주 운동을 이용한 해시계를 직접 만들거나 설치된 것을 관찰해 보세요. 해 그림자의 움직임으로 해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푸코 진자 관람: 가까운 과학관/박물관에서 푸코 진자의 진동면 회전을 직접 관찰해 보세요. 지구 자전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경험입니다.
직접 관찰은 지구의 움직임을 생생하게 느끼고 이해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특별한 장비 없이 눈과 관심만 있다면 우주의 신비를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
결론: 일주 운동,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를 만든 위대한 움직임
지금까지 지구의 일주 운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늘의 겉보기 움직임 뒤에는 지구의 끊임없는 자전이 있으며, 이는 낮과 밤, 별의 움직임 등 다양한 현상의 근본 원동력입니다. 일주 운동에 대한 이해는 지구와 우주를 이해하는 첫걸음입니다.
매일 뜨고 지는 해와 달, 밤하늘의 별들을 보며 이 모든 것이 지구의 거대한 움직임 덕분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우리가 발 딛고 선 행성은 끊임없이 회전하며 매일 새로운 하루를 선물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며, 밤하늘을 더욱 흥미롭게 바라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참고 자료
: www.britannica.com,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britannica.com/science/diurnal-motion#:~:text=diurnal%20motion%2C%20apparent%20daily%20motion,the%20Earth's%20axis%20of%20rotation.
Diurnal motion | Earth's Rotation, Celestial Sphere & Celestial Equator | Britannica,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britannica.com/science/diurnal-motion
Diurnal motion - Wikipedia,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en.wikipedia.org/wiki/Diurnal_motion
: Diurnal Motion | COSMOS - Centre for Astrophysics and Supercomputing,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astronomy.swin.edu.au/cosmos/d/Diurnal+Motion
: Earth's Motion: Diurnal, Annual, and Precession Study Guide | Quizlet,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quizlet.com/study-guides/earth-s-motion-diurnal-annual-and-precession-8dc7f1ca-d53e-4740-8982-19b792eafba7
: Diurnal Motion - Stellar Astronomy - Simply Explained | Home Page,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tidjma.tn/en/astro/diurnal--motion/
: Chapter 3 - TCNJ,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owd.tcnj.edu/~pfeiffer/AST261/AST261Chap3,DiurMot.pdf
: www.tidjma.tn,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tidjma.tn/en/astro/diurnal--motion/#:~:text=Ancient%20Timekeeping%3A%20The%20sundial%2C%20a,ocean%20navigation%20across%20vast%20distances.
: Diurnal motion | The Sky Tonight,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skytonight.org/node/841
: Arc, Diurnal - Stellar Astronomy,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tidjma.tn/en/astro/arc---diurnal/
: Diurnal motion: Significance and symbolism,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wisdomlib.org/concept/diurnal-motion
: 7 Ancient Cultures and How They Shaped Astronomy,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astro4dev.org/7-ancient-cultures-and-how-they-shaped-astronomy-guest-blog/
: ASTR 1210, O'CONNELL. Study Guide 4,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rwoconne.github.io/rwoclass/astr1210/guide04.html
: Chapter 2: Reference Systems - NASA Science,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science.nasa.gov/learn/basics-of-space-flight/chapter2-1/
: Foucault's Pendulum - Brown University,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brown.edu/Departments/Italian_Studies/n2k/visibility/Alison_Errico/Soft%20Moon/pendulum.html
: Planet Rotations - Science On a Sphere - NOAA,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sos.noaa.gov/catalog/datasets/planet-rotations/
: Earth's rotation - Wikipedia,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en.wikipedia.org/wiki/Earth%27s_rotation
: Earth's Rotation | EBSCO Research Starter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ebsco.com/research-starters/science/earths-rotation
: Diurnal Motion – Possibly the First Evidence of Spherical Earth - FlatEarth.w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flatearth.ws/diurnal-motion
: Diurnal Motion | COSMOS - Centre for Astrophysics and Supercomputing,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astronomy.swin.edu.au/cosmos/*/Diurnal+Motion
: Day and Night | Astronomy 801: Planets, Stars, Galaxies, and the Universe - Dutton Institute,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e-education.psu.edu/astro801/content/l1_p3.html
: PART 2 - MOTIONS IN THE SKY - ASTRONOMY BY EYE,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astronomy.nmsu.edu/holtz/a110.fall08/a110notes/node2.html
: February 3, 1851: Léon Foucault demonstrates that Earth rotates - American Physical Society,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aps.org/archives/publications/apsnews/200702/history.cfm
: (PDF) Foucault and the rotation of the Earth - ResearchGate,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1215590_Foucault_and_the_rotation_of_the_Earth
: newtonian mechanics - Proof that the Earth rotates? - Physics Stack Exchange,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physics.stackexchange.com/questions/66234/proof-that-the-earth-rotates
: Foucault pendulum - Wikipedia,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en.wikipedia.org/wiki/Foucault_pendulum
: How Does Foucault's Pendulum Prove the Earth Rotate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smithsonianmag.com/smithsonian-institution/how-does-foucaults-pendulum-prove-earth-rotates-180968024/
: Earth Turns? Prove It! - PUMA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pumas.nasa.gov/sites/default/files/examples/03_13_07_1.pdf
: How FOUCAULT PENDULUM Works and Proves Earth is a Round SPINNING Sphere,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8JxyT0edT6c&pp=0gcJCfcAhR29_xXO
: unsw.pres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unsw.press/news/pendulum-experiment/#:~:text=This%20occurs%20because%20the%20Earth,viewed%20from%20the%20North%20Pole.
: Foucault's pendulum experiment - UNSW Pres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unsw.press/news/pendulum-experiment/
: Pendulums, spheres, and the spinning Earth - Skulls in the Star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skullsinthestars.com/2018/11/22/pendulums-spheres-and-the-spinning-earth/
: Foucault Pendulum Welcome Page - University of Louisville Astronomy,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astro.louisville.edu/foucault/
: Foucault Pendulum | Smithsonian Institution,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si.edu/spotlight/foucault-pendulum
: The Popular and Scientific Reception of the Foucault Pendulum in the United State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journals.uchicago.edu/doi/pdfplus/10.1086/384321
: Replicating a simple but elegant experiment | MIT News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news.mit.edu/2015/replicating-simple-elegant-experiment-lincoln-laboratory-foucault-pendulum-0122
: Foucault Pendulum - Physclip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animations.physics.unsw.edu.au/jw/foucault_pendulum.html
: www.smithsonianmag.com,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smithsonianmag.com/smithsonian-institution/how-does-foucaults-pendulum-prove-earth-rotates-180968024/#:~:text=Over%20time%2C%20viewers%20could%20see,day%20based%20on%20its%20latitude.
: Article Before Foucault: The Proofs of the Earth's Rotation Abstract,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periodicos.ufmg.br/index.php/transversal/article/download/34845/27518/101168
: Before Foucault: The Proofs of the Earth's Rotation - ResearchGate,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8347971_Before_Foucault_The_Proofs_of_the_Earth's_Rotation
: Circadian Rhythms | National Institute of General Medical Sciences, 2025년 4월 15일 접속, https://www.nigms.nih.gov/education/fact-sheets/Pages/circadian-rhythms
... (and so on for all references up to 91)
'과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성 고리의 기원: 수수께끼 같은 천상의 장관 (0) | 2025.04.18 |
---|---|
왜 우리는 하늘을 거대한 공으로 상상했을까? (0) | 2025.04.17 |
망원경으로 어디까지 관측이 가능할까? (0) | 2025.03.29 |
망원경으로 어떻게 정보를 얻을까? (0) | 2025.03.28 |
태양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0) | 2025.03.26 |